열린온라인교회 어워드 : 우리가 본 최고, 최악, 기이 한 것

만일 우리 교회 교우들이 가까이 있는 지역에 모여 살고 있었다면, 그 강점을 살려 해당 지역 공동체들과 접촉점을 찾아 나갔을 것이다. 허나 전부는 어떤 방식으로 저희 상황에 맞게 이웃을 섬길 수 있을지 걱정해오고서, 해마다 사회 선교 기관(환경 운동, 인권 운동, 청년 운동, 이지역민 선교 등)을 정해 정기 후원하기로 했고, 간헐적으로 서명달리기가나 캠페인, 긴급 구호(우크라이나 어린이와 난민을 위한 헌금 등)에 참석하며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고 있을 것입니다. 공간 유지·관리에 드는 금액이 작고, 목회자가 이중직 사역을 한 후 있어 교회에 생계를 의존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크기는 작지만 '자립 교회'이고, 매해 사회 선교 구좌도 늘려 가고 있을 것이다.

예배드리던 공간이 일반 카페에서 '기후 카페'로 변하면서 저희 교회도 '기후 위기는 인류와 온 피조 세계의 생존 문제'이자 온라인교회 말씀 최근 교회가 당면한 '아주 시급하고 결정적인 과제'라는 것을 자각하게 됐다. 그러므로 저희 교회는 '기독교기후위기비상행동'에 동참하며 해마다 '환경 주일 예배'를 드리고 '창조절(Season of Creation)'을 지키고 있을 것이다.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정이 몇몇 있을 것이다 보니 반려동물과 다같이 드리는 예배도 꿈꾸게 됐고, 그런 소망을 담아 주보에 있는 '같이 교회를 섬기는 이들'란에 반려동물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신나는 시도도 하였다. 

최근 '움트다'가 주관한 '배움트다'에서 '알아 두면 쓸모 있는 ESG와 교회 실습' 강의를 듣고, 저희 교회의 지향들이 ESG 개념과 잘 연결되는 것 같아 놀라웠다. 'E(환경·Environment)'와 '인간 중심 넘어 피조 세계 중심', 'S(사회·Social)'와 '지역적 선교 넘어 사회 선교', 'G(지배 구조·Governance)'와 '목회자 중심 넘어 공동체 중심'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겠다. 가치 지향적인 'MZ 세대'와 맞물려, 기업들이 지속 가능성을 위해 사회적 책임과 공유 가치 창출을 걱정하는 이때, 한국교회도 ESG에 이목해야 한다고들 하는데, 저희 교회의 고민과 다체로운 시도가 나름의 뜻을 가진다고 생각하니 감사하다.

""우리 S교회 공동체가 '조각보' http://www.bbc.co.uk/search?q=온라인교회 동일한 공동체가 되길 소망합니다. '조각보'가 여러가지 덩치와 색감, 질감의 천들이 이어져 하나의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그 어떤 모양의 것도 감싸 안을 수 있는 것처럼, 다채롭고 평등하며 포용적인 하나님정부 공동체로 다같이 발달해 나가길 기도했습니다."" (S교회 주보 1면 문구)

저희 교회는 적고, 특수하며, 고정돼 있지 않습니다. 교우들 구성에 따라 얼마든지 어떤 방식으로 든 변화할 수 있다. 근래에 어린 두 자녀를 둔 가정이 같이 예배드리기 시작했는데, 앞으로 어린 교우들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려 한다. 제도권에 속해 있지만, 최근 늘어나고 있는 소위 '비제도권 교회'와 더 가깝다. 그렇기에 대체적인 교회 모델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성과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 주는 차원에서 하나의 사례가 될 수는 있을 것이다.

image

지난 인터뷰에서 나눈 것처럼, 나는 저희 교회가 하나님의 세상, 하나님의 꽃밭에 있는 작은 들꽃 동일한 교회이면 좋을 것입니다. 화려한 꽃도, 수수한 꽃도, 네임 모를 들풀과 들꽃도 전부 아름답고 각자 존재 원인이 있다. 교회도 비슷하다. 하지만 우리 교회처럼 평등한 의논을 통해 다같이 만들어져 가는 교회 공동체가 조금 더 증가하면 좋겠고, 무모하나 아름다운 도전을 멈추지 않는 남성 담임목사도 더 증가하면 좋을 듯합니다. 그런 생각을 담아, 내가 좋아하는 조동화 시인의 시 '나 하나 꽃 피어'를 선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