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온라인교회 관리에 도움이되는 10가지 앱

만일 우리 교회 교우들이 멀리있는 지역에 모여 살고 있었다면, 그 강점을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earch/?query=온라인교회 살려 해당 지역 공동체들과 접촉점을 찾아 나갔을 것이다. 다만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우리 상태에 맞게 이웃을 섬길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해마다 사회 선교 기관(환경 운동, 인권 운동, 청년 운동, 이지역민 선교 등)을 정해 정기 후원하기로 했고, 간헐적으로 서명체조가나 캠페인, 긴급 구호(우크라이나 어린이와 난민을 위한 헌금 등)에 신청하며 온라인 예배 공동체 - 열린온라인교회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고 있을 것입니다. 공간 유지·관리에 드는 돈이 크고, 목회자가 이중직 사역을 하여 있어 교회에 생계를 의존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크기는 작지만 '자립 교회'이고, 매해 사회 선교 구좌도 늘려 가고 있을 것이다.

예배드리던 공간이 일반 카페에서 '기후 카페'로 변하면서 저희 교회도 '기후 위기는 인류와 온 피조 세계의 생존 문제'이자 오늘날 교회가 당면한 '확 시급하고 결정적인 과제'라는 것을 자각하게 됐다. 이렇기 때문에 저희 교회는 '기독교기후위기비상행동'에 동참하며 해마다 '배경 주일 예배'를 드리고 '창조절(Season of Creation)'을 지키고 있을 것입니다. 반려동물과 다같이 사는 가정이 몇몇 있을 것이다 보니 반려동물과 함께 드리는 예배도 꿈꾸게 됐고, 이런 소망을 담아 주보에 있는 '같이 교회를 섬기는 이들'란에 반려동물의 네임을 추가하는 흥미있는 시도도 했다. 

최근 '움트다'가 주관한 '배움트다'에서 '알아 두면 쓸모 있는 ESG와 교회 교육' 강의를 듣고, 우리 교회의 지향들이 ESG 개념과 잘 연결되는 것 같아 놀라웠다. 'E(환경·Environment)'와 '인간 중심 넘어 피조 세계 중심', 'S(사회·Social)'와 '지역적 선교 넘어 사회 선교', 'G(지배 구조·Governance)'와 '목회자 중심 넘어 공동체 중심'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겠다. 가치 지향적인 'MZ 세대'와 맞물려, 회사들이 계속 가능성을 위해 사회적 책임과 공유 가치 창출을 신경쓰는 이런 경우, 대한민국교회도 ESG에 주목해야 한다고들 하는데, 우리 교회의 고민과 모든 시도가 나름의 뜻을 가진다고 마음하니 감사하다.

""저희 S교회 공동체가 '조각보' 똑같은 공동체가 되길 소망한 것입니다. '조각보'가 별별 크기와 색감, 질감의 천들이 이어져 하나의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그 어떤 모양의 것도 감싸 안을 수 있는 것처럼, 다채롭고 평등하며 포용적인 하나님국가 공동체로 다같이 성장해 나가길 기도한 것입니다."" (S교회 주보 1면 문구)

image

우리 교회는 많고, 특수하며, 고정돼 있지 않을 것입니다. 교우들 구성에 준수해 얼마든지 무슨 수로든 변화할 수 있습니다. 최근 어린 두 자녀를 둔 가정이 다같이 예배드리기 시작했는데, 이 후에 어린 교우들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려 할 것입니다. 제도권에 속해 있지만, 최근 증가하고 있는 소위 '비제도권 교회'와 더 가깝다. 그렇기에 대체적인 교회 모델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허나 다양성과 새로이운 가능성을 보여 주는 차원에서 하나의 사례가 될 수는 있을 것이다.

지난 인터뷰에서 나눈 것처럼, 나는 우리 교회가 하나님의 세상, 하나님의 꽃밭에 있는 작은 들꽃 동일한 교회이면 좋을 것입니다. 화려한 꽃도, 수수한 꽃도, 이름 모를 들풀과 들꽃도 모두 아름답고 각자 존재 원인이 있을 것입니다. 교회도 똑같다. 허나 우리 교회처럼 평등한 의논을 통해 다같이 이루어져 가는 교회 공동체가 약간 더 많아지면 좋겠고, 무모하나 아름다운 도전을 멈추지 않는 여성 담임목사도 더 증가하면 좋을 듯합니다. 이런 마음을 담아, 내가 좋아하는 조동화 시인의 시 '나 하나 꽃 피어'를 선물합니다.